• 최종편집 2025-03-17(월)
  • 전체메뉴보기

사회적가치
Home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 부산형사회연대기금 부산 소상공인 가게 운영을 돕는 기자재 구매 비용 총 5,000만 원 지원
    5년째 부산 소상공인 필수 기자재 구매비용 및 온라인 교육 지원, 올해는 지원 업종 확대 및 사업 성과자료집 제작 (재)부산형사회연대기금(이사장 전장화)은 부산 소상공인의 가게 운영 돕는 부산형사회연대기금 부산 소상공인 기자재 지원사업“골목골목”사업 신청 및 접수를 3월 12일부터 3월 30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는 지원 업종을 대폭 확대하여 보다 다양한 지역 소상공인과 골목가게 상권 활성화를 돕는다. 또한 5년째 진행되어 온 부산 소상공인 기자재 지원사업 성과를 담은 사진자료집을 제작할 예정이다. 지원업체는 총 50개이며 업체당 지원금액은 최대 100만원이다. 상세 내용은 본 재단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본 재단 전장화 이사장은 “올해는 지원업종이 확대된 만큼 본 사업을 통해 보다 다양한 업종의 부산 소상공인과 골목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부산형사회연대기금은 2019년 노사 합의로 조성된 전국 최초의 민간기금으로 부산은행, 부산은행노조, BNK금융그룹, 나눅스네트웍스, (재)부산형일자리상생기금 등이 기금 출연에 동참하였다. 기금은 부산지역경제 활성화와 사회적가치 향상 및 경제적 취약층을 위해 쓰인다.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2025-03-12
  • 한국로타리, 2027년 창립 100주년 맞아 ‘테마 공모전’ 개최
    한국로타리가 2027년 창립 100주년을 맞이해 ‘테마 공모전’을 개최한다. 이번 공모전은 로타리의 핵심 가치와 비전을 반영한 대표적인 테마를 선정해 공식 행사 및 홍보 활동에 활용하기 위해 기획됐다. 공모전 접수는 오는 4월 18일까지 진행된다. 로타리 회원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도 개인 또는 팀으로 참여할 수 있다. 응모작은 한글 10자 이내, 영어 10단어 이내로 작성해야 하며, 제출 시에는 테마의 의미와 창작 의도를 설명하는 자료도 함께 제출해야 한다. 이번 공모전은 적합성(30점), 창의성(30점), 전달력(20점), 활용 가능성(20점)을 기준으로 심사된다. 1차로 지구총재 심사를 거친 후, 2차 심사위원단 평가를 통해 최종 수상작을 선정한다. 수상작 발표는 5월 20일에 이뤄지며, 시상식은 5월 23일 진행된다. 총 5개 작품을 선정, 대상(1명/팀)에게는 상금 300만원, 우수상(1명/팀)과 장려상(3명/팀)에게는 각각 200만원과 100만원이 수여된다. 윤영호 한국로타리 백주년기념회 회장은 “이번 공모전을 통해 한국로타리의 역사와 미래를 조명하고 로타리 정신을 담은 감동적 메시지를 발굴하고자 한다”며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많은 분들의 참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모전 관련 자세한 사항은 한국로타리 백주년기념회 공식 홈페이지 (http://www.rotarykorea100.com/?c=main)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7년 창립 100주년을 앞두고 있는 한국로타리는 1927년 경성에서 첫발을 내디딘 이후 19개 지구, 1700여 클럽, 7만여 명의 회원을 보유한 강력한 봉사 네트워크로 성장했다. 전 세계 140만 명이 활동하는 국제 로타리의 중요한 일원으로서 ‘초아의 봉사’ 정신을 실천해 온 한국로타리는 백주년을 맞아 회원 10만 명 달성과 함께 대규모 봉사사업 확대를 통해 국내외에서 ‘선진 봉사대국’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높여갈 계획이다. 백주년기념회는 이러한 비전 실현을 위해 로타리 가치 확산 캠페인을 적극 전개하며 미래 100년을 향한 새로운 여정을 시작하고 있다.
    • 뉴스보도
    • 문화
    2025-03-10
  • 대구광역자활센터-대구지방보훈청, HS화성 후원 통해 국가유공자 등 보훈가족 주거환경 개선·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위한 ‘결초보훈 프로젝트’ 준공식 진행
    한국자활복지개발원 대구광역자활센터(센터장 박송묵)는 지난 8월 12일(월) 대구지방보훈청(청장 직무대리 강대원)과 함께 국가유공자 등 보훈가족의 주거환경개선과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결초보훈(勳) 프로젝트’ 준공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결초보훈(勳) 프로젝트는 주거 문제를 겪고 있는 대구지역 노후주택 및 아파트 거주자 2가구를 대상으로 시설 불편 해소와 주거 만족도 상승을 위한 대규모 집수리 공사(옥상 방수, 단열 도배·장판, 외벽 보수, 타일 교체 등)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해당 사업은 HS화성이 후원, 대구지방보훈청이 수혜자 발굴,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지원하고, 광역자활기업 대구주거복지협동조합이 가정 내 집수리를 수행한다.대구광역자활센터는 2004년 4월 1일 설립해 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단 및 공동체의 안정적인 시장경제 진입, 종합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광역 네트워크 형성과 실무자·참여자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교육 지원, 광역 단위의 지역 공동체 사업 추진 및 창업·취업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종합적인 지원센터로서의 역할을 하고자 한다. 이번 사업의 지원 대상자인 월남 참전 국가유공자 김 모 씨(77)는 1984년 건축된 대구 북구 노후주택에서 40년째 거주하고 있으며, 평소 해충과 겨울철 추위 문제로 고생하고 있었는데, 집수리 후원을 통해 올해 겨울은 안전하고 따뜻하게 보낼 수 있을 것 같다는 기대감과 고마움을 표했다. 박송묵 한국자활복지개발원 대구광역자활센터장은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뜻깊은 사업을 연계 후원해주신 HS화성과 대구지방보훈청에 감사드린다”며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사회서비스 분야까지 지역사회 문제해결 범위를 넓혀 나가 사업을 확대 발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2024-08-21
  • 삼정펄프 ‘DO:RE 친환경 캠페인’ 통해 지속적인 자원 선순환 활동 실천
    삼정펄프가 ‘DO:RE 친환경 캠페인’의 일환으로 재단법인 기빙플러스에 현재까지 4000만원 상당의 화장지와 위생용품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삼정펄프는 올해로 창립 50주년을 맞이해 지역사회 이바지를 위한 캠페인 활동과 친환경 제품을 만드는 등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고객이 일상에서 친환경 제품을 다양하게 경험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실천할 수 있도록 1974년 설립 이후 현재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친환경 제품을 제공하고 있는 기업이다 이번 기부는 삼정펄프와 기빙플러스가 지난 4월 체결한 업무협약의 일환으로, 삼정펄프는 협약 이후 꾸준히 기빙플러스에 위생용품을 제공해오고 있다. 기부된 위생용품은 기빙플러스 매장에서 판매되며, 판매 수익금은 장애인, 다문화 가정, 시니어 등 고용 취약계층의 자립과 고용 지원금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기빙플러스는 기업으로부터 물품을 기부 받아 그 판매 수익으로 사회적 취약계층의 자립을 돕는 기업사회공헌(CSR) 전문 친환경 나눔스토어다. 삼정펄프는 ‘DO:RE 친환경 캠페인’을 통해 자원 선순환 활동을 실천하고 있다. ‘DO:RE’는 ‘DO (하자)’와 ‘Recycle (재활용)’의 합성어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순환시키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또한 ‘두리’라는 순수 한글은 중심을 둘러싸는 의미로, 공동체 정신을 강조한 캠페인을 의미한다. 삼정펄프는 지속 가능한 리사이클 자원 순환 화장지를 생산하며 자원 순환 구조를 확립하고 있다. ‘DO:RE 친환경 캠페인’은 친환경 제품 생산에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는 게 삼정펄프의 설명이다. 전성오 삼정펄프 대표이사는 “기빙플러스와의 협력을 통해 사회적 취약계층을 지원할 수 있어 매우 뜻깊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컬래버를 통해 소비자들이 쉽게 친환경 활동을 실천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삼정펄프는 더 많은 친환경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일상에서 친환경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앞장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2024-08-17
  • 사회적기업웹와치(주) 종사자자녀장학금전달
    IT 사회적기업 웹와치(주), 8회째 사회적경제기업 종사자 자녀의 미래를 응원하다. 2017년부터 지난 7년간 중·고등학생 66명에게 장학금 지원, 올해에는 사회적경제기업 종사자 15명에게 자녀 장학금 지원하여 꿈을 응원하기 위한 기금 확대 등 다각도로 노력 ???? IT 사회적기업 웹와치(주)(대표 이범재)는 7월 25일(목) 오후 2시 본사 강당에서 이범재 웹와치(주) 대표, 서종식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기업성장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어려운 여건 속에도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회적경제기업 종사자를 위해 「제8회 사회적경제기업 종사자 자녀 장학금 전달식」을 개최하여 사회적경제기업 종사자 15명에게 자녀 장학금 총 1,500만원을 전달했다. ???? 사회적기업이 사회적경제기업을 지원하는 사회적경제의 자생적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자 시작한 본 사업은 사회적기업 웹와치(주)에서 후원하고, (사)사회적경제활성화지원센터(이사장 이의영)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원장 정현곤)이 주관하여 선정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 2010년에 사회적기업 인증을 받은 웹와치(주)는 2017년부터 현재까지 사회적경제기업 종사자 자녀 장학금을 후원하고 있으며, 7년간 사회적기업 종사자 총 66명에게 자녀 장학금을 지원하였고, 특히 8회째를 맞은 2024년은 경제위기로 삶이 힘들어진 종사자들을 격려하고자 지원금을 확대하여 총 81명에게 8천1백여만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 ???? 웹와치(주) 이범재 대표는 인사말씀을 통해 “사회적기업으로 성장한 웹와치의 인증서 수령 프로세스 간소화(인증서 파일수령)에 따른 절약비용을 장학금으로 지원하고 있다. 웹와치의 임직원들의 노력이 다른 사회적경제기업의 종사자들과 그 가족들에게 힘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서종식 본부장은 “사회적기업 초기지원으로 성장한 웹와치가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다른 사회적경제기업을 후원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주셔서 좋은 모범사례가 되고 있다”고 감사말씀을 전했다. ???? 본 장학기금은 정보통신접근성 인증을 획득하면서 인증서를 전자문서(pdf)로 수령하여 기부에 동참해주신 사이트 1,450개에서 참여하여 기금을 조성했으며, 웹와치(주)는 사회적경제기업 종사자 자녀 장학금 지원사업 10주년을 준비하면서, 장학기금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끝. * 웹와치(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정 웹 접근성 품질인증기관이며 정보접근성 분야 대표 민간기관으로, 모두에게 편리한 정보화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IT 사회적기업이다. 2010년 12월 사회적기업으로 인증 받았으며, 우수사회적 기업 선정, 국무총리상 수상, 벤처 이노비즈 가족친화우수기업 인증을 획득하였고, 또한 정보접근성 진단 소프트웨어 개발 및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인증기관 유일의 W3C 회원사로서 국제 웹 표준 활동에 기여하고 있다.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2024-07-31
  • 제5회 전남사회적기업협회 정기총회 개최
    전남사회적기업협회는 2024년 1월30일 16시 순천시민협력센터3층에서 제5회 정기총회를 개최하였다. 현장참석과 위임참석 조합원 70여 기업이 참석하여 제갈영 사무처장의 성원보고와 함께 정기총회를 순조롭게 진행하였다. 이창환 전남사회적기업협회 회장의 인사말과 함께 류세택 감사의 감사보고를 받고 박동현 총회준비위원장의 신임 회장선출 그리고 여러가지 안건토의가 있었다. 모든안건들이 원할하게 통과 되면서 제5회 정기총회를 큰 불협화음 없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하였다. 이번 정기총회 전 이창환 회장의 연임 사양으로 인해 이사회에서 신임 회장으로 거론 되었던 순천지역 사회적기업 대표가 있었으나 기업의 상황과 개인적인 문제로 전남사회적기업협회 회장을 할 수가 없게 되면서 어쩔수 없이 이창환 회장이 연임을 하게 되었다. 전남사회적기업의 현재 상황으로 비춰볼때 신임 회장보다는 여러가지 사안들을 해결하고 해결 중에 있는 이창환 회장이 가장 적임자라는 것은 협회에 조금이라도 관심을 갖고 참석하시는 분들은 다 공감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윤석열정부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대대적인 칼춤으로 인해 사회적기업의 고난은 시작되었다. 2024년은 사회적기업가들에게 가장 힘들었던 시기로 기업 될 것이다. 광복을 기다리는 독립운동가의 심정으로 기업의 생명을 지켜야하는 상황이다. 5회 정기총회 통해 제6기 전남사회적기업협회를 이끌어 갈 협회장으로 이창환 대표가 선출됨에따라 힘들고 어려운 시기를 지혜롭게 잘 견뎌 내기를 바란다. 시군 협의회장의 변경이 끝나면 정식적인 제6기 운영위원회가 결성되어 2024년 한해동안 수고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창환 이사장의 연임인사로 "정말 어려운 한해가 될것 같습니다. 올해는 협회 자체사업도 사업이지만 사회적기업 제품 유통과 우선구매에 대한 부분에 더 많은 시간을 쏟을까 합니다. 지금까지 관심과 애정으로 전남사회적기업협회에 힘을 실어주신 회원사님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갈 계획입니다."라고 말했다. 정기총회에 참석한 회원사들을 위해 기념품을 기증해준 기업이 있는데 에코도의 매트 백여만원 상당의 기념품 기부와 목포희망드림센터의 마스크 사십여만원의 기념품 기부로 정기총회를 훈훈하게 마무리 하였다.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2024-02-01
  • 전남사회적기업협회 사회적가치 실현을 위한 김장나눔 행사개최
    전남사회적기업협회 사회적가치 실현을 위한 김장나눔 행사개최 장애인,노인, 취약계층에게 김장 300박스 전달 전남사회적기업협회는 사회적가치을 추구하고 취약계층 일자리창출에 힘쓰는 전남 소재 사회적기업들이 설립한 사회적협동조합이다. 매년 사회적가치 추구 활동으로 사회적기업들의 물품들을 모아서 장애인 및 독거노인과 어려운 이웃들에게 전달하는 행사를 정기적으로 하고 있다. 11월 30일 목포시수산물유통센터에서 개최한 “사회적가치 실현을 위한 김장나눔” 행사 또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사회적기업들의 힘을 모아 행사를 치루게 되었는데 올해에는 총 300박스를 준비하여 목포시 인근 노인 및 장애인 또는 단체에 전달하였다. 전남사회적기업협회 이창환 이사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장애인 및 노인분들이 추운 겨울을 조금이나마 따뜻하게 보냈으면 한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그랬던 것처럼 물품들이 모아지면 정기적으로 매년 2~3회씩 기부 행사 할 계획이다”고 밝히면서 사회적가치 공동 실현을 위해 후원해주신 모든 사회적기업 및 관계자 분들께 감사의 말을 전했다.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2023-12-01
  • 2022년 사회적가치 성과보고서 참여기업리스트
    1 강원 예비 문화창작소광부댁협동조합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R) 김순심 강원도 정선군 사북읍 사북3길 6 4층 kyung1265@naver.com - 2 강원 인증 사회적협동조합 원주진로교육센터새움 교육 서비스업(P) 장승완 강원도 원주시 남원로 528-29 , 3층(단구동, 큰나무빌딩) wjeduself@hanmail.net 033-742-2040 3 강원 인증 한국자재산업㈜ 제조업(C) 김홍일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팔괴로 130-15 ssj7858@naver.com 033-373-8778 4 강원 인증 영월한옥협동조합 제조업(C) 주재일 강원도 영월군 북면 밤재로 421 innohanok@naver.com 033-372-6050 5 강원 인증 (주)낭만사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R) 박승환 강원도 원주시 남원로 654 , 2층(명륜동) nangmansa@naver.com 033-901-7516 6 강원 인증 주식회사프리즘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M) 김현욱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인제로206번길 38 , 801호(해밀빌딩) designinje@naver.com 033-463-0022 7 경기 인증 (주)행복더하기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유명곤 경기도 파주시 금물다리길 271 , 3층(맥금동) happy0304@hanmail.net 031-949-3670 8 경기 인증 회복적정의 평화배움연구소 에듀피스 교육 서비스업(P) 서정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미금일로90번길 32, 웰파크 518호 victork0913@gmail.com 1644-8328 9 경기 인증 안산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D) 양성습 경기도 안산시상록구 광덕산안길20, 304-1호 ansan_energy@ansansolar.kr 031-483-3428 10 경기 인증 ㈜ 식판천사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개인 서비스업(S) 김경남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오포로859번길 34 , 가동 sp7666262@naver.com 031-766-6262 11 경기 인증 (주)일렉콤 제조업(C) 이용회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덕이로202번길 99 pe@elecom.biz 031-366-4021 12 경기 인증 다울사회적협동조합 교육 서비스업(P) 김병우 경기도 오산시 내삼미로 83, 센타프라자 601, 602호 dawool05@hanmail.net 070-5029-3566 13 경기 인증 주식회사 위드플러스시스템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N) 김승모 경기도 부천시 경인로60번길 40 , 2층(송내동) ksm@withplus.co.kr 032-612-0655 14 경기 인증 주식회사리맨 제조업(C) 구자덕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금강로 2975-23 koo@remann.co.kr 031-534-7297 15 경기 인증 ㈜에이스엘이디 제조업(C) 김민정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처인성로 928 secret5_5@naver.com 070-4410-3995 16 경기 인증 주식회사 담심포 제조업(C) 박귀선 경기 양주시 고읍남로 20-19 원중빌딩 704호 damsimpo@naver.com 031-848-4929 17 경기 인증 사회적기업 청보 농업회사법인㈜ 농업, 임업 및 어업(A) 하영식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지월로 32-82 che6311@naver.com 031-768-6311 18 경기 인증 주식회사티알멀티스포츠센터 교육 서비스업(P) 유철호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항가울로 42 2층 (사동) npklove@naver.com 031-418-2501 19 경기 인증 사단법인한국교육공예저작권협회 교육 서비스업(P) 한규호 경기도 양주시 평화로 1227-33.A동 miart21@hanmail.net 031-868-8087 20 경남 예비 주식회사케이에프 제조업(C) 박영주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월아산로950번길 26-5 케이에프 kfjinju@daum.net 055-762-2031 21 경남 인증 사회적협동조합창원도우누리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김미득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대봉로26번길 4-5 3층 dounuri27@daum.net 055-262-2773 22 경남 인증 복을만드는사람들 주식회사 제조업(C) 조은우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섬진강대로 2498-11 hdsfood@daum.net 055-884-2252 23 경남 인증 주식회사좋은아침 제조업(C) 송현민,정민정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용정1길 18 darkliebe76@nate.com 055-586-5654 24 경북 예비 앤클로이토탈뷰티주식회사 교육 서비스업(P) 김영희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이로 45 (대잠동) 이수빌딩 9층 annchloe1@naver.com 054-241-3336 25 경북 예비 (주)식판천사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개인 서비스업(S) 조호현 경상북도 구미시 4공단로 405 금전동 103호 sp1004gumi@naver.com 054-715-3173 26 경북 예비 사회적협동조합더노크교육연구소 교육 서비스업(P) 조인숙 경상북도 구미시 봉곡서로 34 1층 (경북경제진흥원 8층) theknock_official@naver.com 054-456-0573 27 경북 예비 (주)수플러스 도매 및 소매업(G) 강희수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홍술로 70 의성청년농업회사법인(주) - 054-833-1209 28 경북 예비 주식회사이공이공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R) 김태욱 경상북도 안동시 중앙로 67,5층(카페플랜비건물) 2020company@naver.com 054-858-2080 29 경북 예비 (주)맑음히어링테크 제조업(C) 유승호 경상북도 경산시 둥지로 69 (임당동) 이건빌딩 5층 malgeum1234@naver.com 053-1670-5496 30 경북 인증 ㈜코러싱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M) 박동식 경상북도 구미시 1공단로 144 103 chbb@chorusing.net 070-4333-8688 31 경북 인증 주식회사채움푸드 숙박 및 음식점업(I) 김순수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문예로 39 (주)채움푸드 thegardenparty@hanmail.net 054-277-6664 32 경북 인증 ㈜메타에듀시스 교육 서비스업(P) 배종희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375 안동대학교 noon333@hanmail.net 054-857-9704 33 경북 인증 알배기협동조합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J) 심영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4길 10 , 2층 albaegi@naver.com 054-920-7307 34 경북 인증 사단법인 가경사회서비스지원센터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강봉구 경상북도 경주시 동문로 50 3층(성동동) kkwc0414@hanmail.net 054-773-5002 35 경북 인증 경상북도사회적기업종합상사협동조합 도매 및 소매업(G) 주재식 경상북도 경주시 동문로 50 4층(성동동) cseg1131@hanmail.net 054-716-1131 36 경북 인증 농업회사법인과일드림주식회사 제조업(C) 황찬영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375 안동대학교 cy1960@naver.com 054-841-3338 37 경북 인증 (사)사회적경제허브센터 교육 서비스업(P) 한대규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1길 48 3층 seh8532@daum.net 054-843-8532 38 경북 인증 주식회사알브이핀 제조업(C) 신봉국 경상북도 상주시 성하2길 30 , 3층(성하동) bk@rvfin.kr 070-8733-7077 39 경북 인증 (주)스마트인디지털 제조업(C) 홍일곤 경상북도 경산시 백양로33길 11-4(사동) office@dandipc.com 070-7858-5256 40 경북 인증 주식회사 아누리 제조업(C) 김민선 경상북도 문경시 신기산단2길 11 (신기동) kk100403@naver.com 054-554-7660 41 경북 인증 ㈜ 향기내는사람들 숙박 및 음식점업(I) 임정택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장량로226번길 6 , 2층 syhsym@hisbeans.com 054-262-4620 42 경북 인증 (사)글로벌투게더경산 도매 및 소매업(G) 장익현 경상북도 경산시 강변서로 261(중방동) together_shc@naver.com 053-242-2230 43 경북 인증 주식회사낭만연구소 숙박 및 음식점업(I) 박창욱 경상북도 구미시 산업로 193-84 (원평동), nml@nml.co.kr 054-443-5248 44 경북 인증 (주)나눔과돌봄사회서비스지원센터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송영숙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장량로17번길 45-10(장성동) ju-nanum@hanmail.net 054-275-6443 45 경북 인증 푸드앤디자인협동조합 제조업(C) 김종섭 경상북도 경주시 동문로 50 (성동동) food1555@hanmail.net 054-701-1333 46 경북 인증 주식회사그린벨트의친구들 농업, 임업 및 어업(A) 이재기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호국로 695 garcia7500@hanmail.net 070-8802-0086 47 경북 인증 드림돌봄센터(주)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황윤길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망양로 73 dcc4666@hanmail.net 054-781-4666 48 경북 인증 재단법인행복전통마을 숙박 및 음식점업(I) 조재환 경상북도 안동시 민속촌길 190 (재)행복전통마을 euny8642@nate.com 054-823-9011 49 경북 인증 주식회사부창산업 제조업(C) 박선희,최양수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양학천로 16-1 (죽도동) boochang09@naver.com 054-282-4536 50 경북 인증 주식회사 위즈 제조업(C) 이홍실 경상북도 안동시 태사2길 28 , 2-3층(북문동) wiz989898@daum.net 054-1577-6396 51 경북 인증 농업회사법인 문경미소 주식회사 제조업(C) 김경란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산동로 597 1층 gyeong0101@hanmail.net 054-572-4300 52 경북 인증 영덕돌봄협동조합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정종철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화개길 32 1층 ydtcare@naver.com 054-733-1210 53 경북 인증 농업회사법인 착한영광버섯마을 농업, 임업 및 어업(A) 손광식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송곡리 산 32-1 ksson0987@hanmail.net 054-472-0506 54 경북 인증 ㈜제월아트체험센터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개인 서비스업(S) 서하나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의성길안로 157 tjrnfk@hanmail.net 054-833-3444 55 경북 인증 동민산업협동조합 제조업(C) 강원철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오계공단길 36 . dongmin6245@nate.com 054-335-6245 56 경북 인증 주식회사씨앗드림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M) 신배성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중앙로 154 , 1108호 seeatdream@hanmail.net 054-284-8819 57 경북 인증 두빛나래협동조합 숙박 및 음식점업(I) 함성희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이로1번길 10 1층(대잠동) dbncoop@naver.com 054-291-2001 58 경북 인증 영농조합법인 나눔과섬김 도매 및 소매업(G) 권오량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지풍로 1846-8 andongccfn@gmail.com 054-854-1847 59 경북 인증 문화콘텐츠생산자협동조합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M) 박성백 경상북도 영주시 광복로29 [본사] etceoc@naver.com 070-8872-3903 60 경북 인증 (주) 포아시스 숙박 및 음식점업(I) 주재식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중앙상가길 63(신흥동) poasis@poasis.kr 054-278-5988 61 경북 인증 주식회사 돌봄사회서비스센터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박명배 경상북도 안동시 안기1길 48 (안기동) adb5123@nate.com 054-841-5123 62 광주 인증 주식회사김치타운 제조업(C) 정휴선 광주광역시 남구 김치로 60 주식회사 김치타운 max2242@hanmail.net 062-675-2244 63 광주 인증 주식회사인그래픽스 제조업(C) 임동화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50-2 2층 ing2232278@daum.net 062-223-2278 64 광주 인증 (주)청화식품 제조업(C) 조미정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509 (덕흥동 42-4) 3695083@hanmail.net 062-369-9210 65 대구 예비 사단법인영남선비문화수련원 교육 서비스업(P) 서영택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공원로17길 20 ryoohm@hanmail.net 053-959-7202 66 대구 인증 교육협동조합세움 교육 서비스업(P) 박호일 대구광역시 수성구 유니버시아드로 66-32 1층 seum13@naver.com 070-4151-0179 67 대전 인증 가치플러스사회적협동조합 도매 및 소매업(G) 유인수 대전광역시 대덕구 한남로 70 시빌리기념관 204호 value@value-plus.kr 042-624-6005 68 대전 인증 미담장학회 교육 서비스업(P) 조재완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지로 193 midam2009@naver.com 042-350-0352 69 부산 인증 (사)부산돌봄사회서비스센터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안혜경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천로 89 (거제동,이안빌딩6F) bsdolbom@hanmail.net 051-852-0525 70 서울 예비 주식회사더쇼퍼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개인 서비스업(S) 노경환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31길 21, iloveroh@gmail.com 070-8064-3694 71 서울 예비 (주)판이오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R) 이선민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140, 2층 paniostage@gmail.com 070-4136-8825 72 서울 예비 주식회사 아워스토리 교육 서비스업(P) 송명석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30길 76 (사당동) ssongbright@ourstory.or.kr 02-356-3621 73 서울 예비 ㈜무궁무진스튜디오 교육 서비스업(P) 정연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동2로 57, 신관 16층 moomoost.com@gmail.com 070-7938-7997 74 서울 예비 라이프기획사협동조합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J) 최윤정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대로25길 10 yj080424@naver.com 02-6223-9380 75 서울 인증 행복나래주식회사 도매 및 소매업(G) 구영모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 89-31 7층 junguncha@sk.com 02-2621-4896 76 서울 인증 ㈜오엠인터랙티브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J) 권영준 서울시 성동구 성수이로22길 37, 성수동 아크밸리 502호 yjkwon@omin.co.kr 02-2295-0519 77 서울 인증 에스에스모빌리티 주식회사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M) 곽원준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 , 벤처관 201호 wonjkwak@gmail.com 070-4464-1077 78 서울 인증 주식회사 가온아이피엠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도귀영 서울특별시 송파구 중대로 318 대진빌딩 201호 gaon1535@naver.com 02-431-9777 79 서울 인증 주식회사 스페셜아트 교육 서비스업(P) 김민정 서울시 동작구 양령로 271, 3층 스페셜아트 special_arts@naver.com 02-812-1762 80 서울 인증 ㈜희망하우징 건설업(F) 강혜경 서울특별시 동작구 여의대방로44길 47 2층 home9028@naver.com 02-2069-3636 81 서울 인증 (주)샤인임팩트 교육 서비스업(P) 정승애 서울특별시 송파구 중대로29길 13 , 202호(오금동) ta6519@hanmail.net 070-7633-6780 82 서울 인증 (주)은빛작업장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개인 서비스업(S) 이준관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152가길 20-4 도봉동 se2012095@hanmail.net 02-3494-0962 83 서울 인증 (주)좋은날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R) 정재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76 thegooday_2248@naver.com 02-515-9924 84 서울 인증 주식회사공공공간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M) 신윤예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684 , 미래청 4층 410호, syyhsj@000gan.com 02-6959-6930 85 서울 인증 언더독스주식회사 교육 서비스업(P) 김정헌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화문로 88-1 , 4층 401호(와룡동) contact@underdogs.co.kr 02-6384-3222 86 서울 인증 한결 사회적협동조합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송건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164길 33-25 , 502호(도봉동) hhss2505@hanmail.net 02-955-2505 87 서울 인증 한국사회혁신금융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M) 이상진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12길 20 606호 607호 info@ksifinance.com 070-7178-9534 88 서울 인증 펀데이코리아네트웍스 주식회사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R) 하영태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115 , 609호 sul3woo@naver.com - 89 서울 인증 (주)시니어앤파트너즈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N) 이은정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511 ( 무역센터 ) 702호 admin@seniornpartners.com 02-551-2145 90 서울 인증 (주)공감만세 교육 서비스업(P) 고두환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40 , 8층 21호 fairtravelkorea@gmail.com 02-2135-3611 91 서울 인증 (주)세상에없는세상 제조업(C) 김정식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684 , 미래청동 3층 319b호 osw@osw.kr 02-737-3300 92 서울 인증 자연미약선연구 제조업(C) 박신성 서울특별시 송파구 양재대로66길 39, 1층 (가락동, 정화빌딩) kjsnss17@naver.com 070-8822-1079 93 서울 인증 마인즈그라운드 주식회사 교육 서비스업(P) 민환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 410호 - 02-812-1135 94 서울 인증 주식회사 말하는사람들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R) 김재성 서울시 강서구 양천로10길38, 106동 2층 1호 malsa17@naver.com 02-303-6010 95 서울 인증 더사랑(주) 도매 및 소매업(G) 조영화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역로3길 40-36 thesarang33@naver.com 02-973-1051 96 서울 인증 ㈜메타비 교육 서비스업(P) 이상열,김현 서울시 동작구 상도로 204. 306호 youandifarm@naver.com 02-303-4871 97 서울 인증 사회적협동조합공감과연대 제조업(C) 김기진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144, B107호 empathy14@hanmail.net 02-3409-8270 98 서울 인증 스프링샤인사회적협동조합 제조업(C) 김종수 서울시 은평구 갈현로11길 30 hello@springshine.co.kr 02-355-3324 99 서울 인증 (재)아름다운커피 제조업(C) 한수정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263 , 4층(명륜2가) ggomin@bcoffee.org 02-743-1004 100 울산 인증 주식회사오렌지디자인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J) 이진형 울산광역시 남구 돋질로 331 2층 201호 제이에스빌딩 2742417@naver.com 052-256-2417 101 울산 인증 ㈜우시산 제조업(C) 변의현 울산광역시 남구 대학로 147번길 86, 2층 ulsanyeon@nate.com 052-222-0879 102 울산 인증 울산행복한학교 교육 서비스업(P) 김명화 울산광역시 남구 돋질로91번길 34 울산중앙초등학교 ushs2015@daum.net 052-277-8220 103 울산 인증 두드림협동조합(간병고용)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권오헌 울산광역시 북구 동대중앙로 66 , 2층(호계동) flower9529@naver.com 052-288-8848 104 울산 인증 주식회사 코끼리공장 하수, 폐기물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 이채진 울산광역시 울주군 점촌2길 50, 1층 kogongjang@naver.com 052-242-1661 105 인천 예비 한국전통문화예절원협동조합 교육 서비스업(P) 변영주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대로 627 선한빌딩 302호 witcom@empal.com 032-565-5701 106 인천 예비 정약용컴퍼니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개인 서비스업(S) 박보민 인천광역시 서구 이음 3로 220, 사회적기업 1호 cyycompany@naver.com 070-4793-5811 107 전남 인증 지리산씨협동조합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R) 임현수 전남 구례 구레읍 봉성로 36 2층 jirisanc@gmail.com 061-782-0352 108 전남 인증 사단법인 에듀펀플러스 교육 서비스업(P) 오승우 전남 순천시 선암1길 5 061-746-9300 109 전남 인증 화탑영농조합법인 도매 및 소매업(G) 김종구 전라남도 나주시 세지면 화탑길 61 hwat2274@naver.com 070-7576-3251 110 전남 인증 농업회사법인순천만누룽지주식회사 제조업(C) 김종훈 전라남도 순천시 팔마로 148 1층 - 061-721-3993 111 전남 인증 ㈜아뜰리에이화 제조업(C) 박초희 전라남도 나주시 중앙로 23(남내동) ewha108@naver.com - 112 전북 인증 주식회사 미소능력개발센터 교육 서비스업(P) 강현신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중인1길 189 , 2층(중인동) trustkang@naver.com 063-223-0111 113 전북 인증 (사)꿈드래장애인협회 제조업(C) 하태복 전북 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451(종합경기장 내) jpcaph@hanmail.net 063-255-0049 114 전북 인증 한국주거복지 사회적협동조합 건설업(F) 곽병현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천잠로 555, B동 3층 (효자동 3가) ewc0479@hanmail.net 063-255-0479 115 충남 예비 지역상권육성사회적협동조합 교육 서비스업(P) 최동규 충청남도 공주시 용당길 22 1층 cdg123@hanmail.net - 116 충남 인증 주식회사라임프렌즈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J) 정영찬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호서로79번길 20 lime@limefriends.com 0505-901-0608 117 충남 인증 ㈜열린문디자인 제조업(C) 문정선 충남 아산시 온천대로1333번길 51 yullin-moon@daum.net 041-548-5106 118 충남 인증 주식회사 아이미소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R) 장동희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희망로46번길 45-7, 408호 young@aimiso.co.kr 041-335-5428 119 충북 인증 주식회사다솔 건설업(F) 박창수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음성로 132 fishman10@naver.com 043-872-9191 120 충북 인증 (주)공공디자인이즘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R) 허진옥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율천남로 92 1,2층(내덕동) fate1624@hanmail.net 043-272-3737 121 충북 인증 부강이엔에스㈜ 제조업(C) 박규식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서부로 1168번길 23-4 2373039@naver.com 043-237-3039 122 충북 인증 (주)보듬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최순복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대신로10번길 12 , 4층(복대동) bodum1004@naver.com 043-291-1919 123 충북 인증 행복나무통합심리상담센터 주식회사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노근희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수영로 6 , 3층(수곡동) happytree2204@naver.com 043-285-2204 124 충북 인증 힐링플레이 교육 서비스업(P) 유혜선 충북 진천군 문백면 문진로 469-3, 1층 healingplay2017@naver.com 043-535-3677
    • 사회적가치
    • 공익적가치
    2023-02-02
  • 전남사회적기업 멘토멘티 피어컨설팅 결산보고대회
    전남사회적기업협회는 12월 12일(월) 나주시 빛가람호텔에서 전남피어컨설팅 멘토멘티 결산보고대회를 실시하였다. 7명명의 사회적기업 컨설팅 전문가를 양성하고 전남사회적기업 멘토로 지정하여 26개 사회적기업들을 방문 또는 전화로 최고 6번까지 미팅을 해가면서 그동안의 사회적기업에 대해 배우고 느겼던 것들을 전수하여 주었다. 전남피어컨설팅 멘토멘토 사업은 전남사회적기업협회에서는 처음 실시하는 사업으로 여러가지 염려와 여러기관의 미덥지 않은 시선들이 있었지만 성공적으로 잘 마무리되고 많은 사회적기업들이 좋은 영향과 발전이 있었다고 밝히는 만큼 초기의 염려와 따가운 시선은 괜한 기우였음을 느끼게 된다. 사회적기업들은 현장에서 외로운 싸움을 하면서 기업을 운영한다. 직원들은 있으나 업무가 일반적인 업무가 아니다보니 대표가 하지 않으면 안되는 업무들이 많다. 그리고 누군가를 고용한다고 해도 최소 1년은 가르쳐야 한다. 그러나 그게 만만치 않다. 사회적기업의 직원들은 이직률이 높은 편이기 때문이다. 행정 업무라는게 일반 인들에게는 생소하고 어렵고 만만한 업무들은 아니기 때문에 대표도 직원도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아무튼 사회적기업들을 위한 피어컨설팅 멘토멘티 사업으로 서로가 대화하며 에로사항들을 해결은 안되드래도 함께 고민하며 위로자가 있다는 것은 작지만 큰 힘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전남사회적기업협회 또한 어려운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더 많은 인지도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2022-12-12
  • 2022년 사업보고서 제출마감
    사회적기업은 매년 4월 말과 10월 말까지 연2회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사업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모니터링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외부 감사 제도와 같은 시스템으로 사회적기업으로써 의무사항이다. 또한 사회적기업육성법에 의해 사업보고서 작성,제출 의무를 게을리 하거나,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작성한자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어 의무사항 이면서 강제사항으로 되어 있다. 정부지원을 받는 많은 사회단체와 기관들이 있지만 정부지원을 받았다고 만해서 감사를 받는 경우는 드물다. 정부산하기관이나 출연기관들이 이에 해당 되는 경우가 많은데 사회적기업들에게는 조금은 과도한 제도이기는 한것으로 보인다. 실제 지원금액도 일자리창출성 인건비 지원이다보니 기업에게 순수하게 지원되는 금액이 아닌데도 예산 금액이 크다보니 지원금액이 많은 것으로 보이는 것도 이런 감사제도를 시행하게되는 것으로 보인다. 사어보고서에는 사업자등록증, 사회적기업인증서, 재무제표, 유급 근로자명부, 이사회의록, 금년도사업계획서, 정관사본, 취약계층 근로자 증빙서류, 급여대장, 법인등기부등본, 본점 및 지점현황, 출근카드나 근로계약서, 사회서비스 제공 증빙서류등을 보고하는 월에 따라 제출해야 한다. 사회적기업을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사회적경제 기업들 중 대표기업으로 인정하는 것중 이런 제도에 따른 관리감독을 받고 있기 때문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든다. 순수 기업 지원금 만을 본다면 오히려 자활기업이나, 마을기업들이 더 많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자활기업이나 마을기업들은 이처럼 관리 감독을 받지 않고 있다. 세월이 흐를 만큼 흘렀으니 관리 감독만 할 것이 아니라 제도 개선에도 신경을 써야 할때가 아닌가 생각한다.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2022-04-04

실시간 사회서비스 기사

  • 목포시 원산동 사랑나눔공동체, 사랑의 나눔 후원 물품 전달
    원산동 사랑나눔공동체(위원장 마순철)는 지난 11일 원산동 행정복지센터 에서 생계가 어려운 주민에게 생필품을 지원하는 ‘사랑나눔공동체 후원물품 전달 행사’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저소득층 16세대를 대상으로 김·라면(90만 원 상당)을 전달했으며, 올해 1월과 2월에 이은 3번째 후원이다. 매월 진행되는 사랑의 나눔 후원 물품 전달 행사는 생활이 어려운 이웃들에게 보탬이 되며 지역주민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마순철 위원장은 “앞으로도 관내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꾸준히 후원할 예정이니, 주민들의 많은 관심과 동참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황성용 원산동장은 “항상 어려운 이웃을 위해 후원해주시며, 따뜻한 마음을 전달해주시는 원산동 사랑나눔공동체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며, “많은 분이 후원에 동참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하겠다”고 밝혔다.
    • 뉴스보도
    • 사회
    2025-03-14
  • (유)썬에너지, 이로동 취약계층에 나눔 실천
    (유)썬에너지(대표 박주영)는 이로동 행정복지센터에 매월 10만 원씩 1년간 총 120만 원을 후원하기로 했다. (유)썬에너지는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해왔으며, 이번 후원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후원금은 이로동 내 취약계층을 돕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박주영 대표는 “작은 정성이지만 어려운 이웃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기업으로서 꾸준히 희망 나눔을 실천하겠다”고 밝혔다. 박경훈 이로동장은 “지역 내 취약계층을 위해 관심을 갖고 후원을 결정해주신 썬에너지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소중한 후원금은 관내 독거노인과 저소득가정을 지원하는 데 귀중하게 사용하겠다”고 전했다.
    • 뉴스보도
    • 사회
    2025-03-14
  • 광주전남시도민회 광양시 시민회, 매년 고향 방문행사로 ‘고향사랑 실천’
    - 변함없는 고향 사랑, 올해도 따뜻한 발걸음 - - 유영경 제13대 회장 등 향우들, 광양발전을 위한 고향사랑 기부금 전달 - 광양시는 지난 8일과 9일 광주전남시도민회 광양시 시민회(회장 백명식, 여성회장 백선미) 회원 40여 명이 올해도 변함없이 광양을 방문해 고향 사랑을 실천했다고 밝혔다. 광주전남시도민회 광양시 시민회원들은 매년 2월 말부터 3월 초에 고향을 방문해 광양 백운산 일대 고로쇠 약수를 시음하고 관내 관광명소를 탐방하며 고향에 대한 애정을 나누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방문에서 시민회원들은 백운산 치유의 숲 센터를 방문해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해, 고향의 명산인 백운산의 기운을 느끼며 숲길 산책과 명상 등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힐링의 시간을 가졌다. 특히 올해 방문에서는 광양 발전을 위해 유영경 제13대 회장을 비롯한 백선미 여성회장, 김동자 여성회 고문이 고향사랑기부제 기부금을 전달하는 뜻깊은 시간도 가졌다. 연속 2년 동안 100만 원을 기부하며 고향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표현한 유영경 제13대 회장은 “고향을 위한 실질적인 기부에 동참하게 되어 뜻깊다. 내 고향 광양을 위해 앞으로도 향우들이 함께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하겠다”고 말했다. 백명식 회장은 “고향인 광양에 오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매년 함께하는 이 시간이 소중하다”며 “앞으로도 많은 향우와 함께 광양의 발전을 응원하며 고향사랑을 실천하겠다”고 밝혔다. 정인화 광양시장은 “매년 고향을 잊지 않고 찾아주신 향우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특히 고향사랑기부제에 함께해 주시고 고향에 대한 사랑을 실천해주셔서 감사하다. 향우님들께서 자긍심을 느낄 수 있도록 광양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환영과 감사의 뜻을 전했다.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2025-03-12
  • 부산형사회연대기금 부산 소상공인 가게 운영을 돕는 기자재 구매 비용 총 5,000만 원 지원
    5년째 부산 소상공인 필수 기자재 구매비용 및 온라인 교육 지원, 올해는 지원 업종 확대 및 사업 성과자료집 제작 (재)부산형사회연대기금(이사장 전장화)은 부산 소상공인의 가게 운영 돕는 부산형사회연대기금 부산 소상공인 기자재 지원사업“골목골목”사업 신청 및 접수를 3월 12일부터 3월 30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는 지원 업종을 대폭 확대하여 보다 다양한 지역 소상공인과 골목가게 상권 활성화를 돕는다. 또한 5년째 진행되어 온 부산 소상공인 기자재 지원사업 성과를 담은 사진자료집을 제작할 예정이다. 지원업체는 총 50개이며 업체당 지원금액은 최대 100만원이다. 상세 내용은 본 재단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본 재단 전장화 이사장은 “올해는 지원업종이 확대된 만큼 본 사업을 통해 보다 다양한 업종의 부산 소상공인과 골목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부산형사회연대기금은 2019년 노사 합의로 조성된 전국 최초의 민간기금으로 부산은행, 부산은행노조, BNK금융그룹, 나눅스네트웍스, (재)부산형일자리상생기금 등이 기금 출연에 동참하였다. 기금은 부산지역경제 활성화와 사회적가치 향상 및 경제적 취약층을 위해 쓰인다.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2025-03-12
  • 한국로타리, 2027년 창립 100주년 맞아 ‘테마 공모전’ 개최
    한국로타리가 2027년 창립 100주년을 맞이해 ‘테마 공모전’을 개최한다. 이번 공모전은 로타리의 핵심 가치와 비전을 반영한 대표적인 테마를 선정해 공식 행사 및 홍보 활동에 활용하기 위해 기획됐다. 공모전 접수는 오는 4월 18일까지 진행된다. 로타리 회원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도 개인 또는 팀으로 참여할 수 있다. 응모작은 한글 10자 이내, 영어 10단어 이내로 작성해야 하며, 제출 시에는 테마의 의미와 창작 의도를 설명하는 자료도 함께 제출해야 한다. 이번 공모전은 적합성(30점), 창의성(30점), 전달력(20점), 활용 가능성(20점)을 기준으로 심사된다. 1차로 지구총재 심사를 거친 후, 2차 심사위원단 평가를 통해 최종 수상작을 선정한다. 수상작 발표는 5월 20일에 이뤄지며, 시상식은 5월 23일 진행된다. 총 5개 작품을 선정, 대상(1명/팀)에게는 상금 300만원, 우수상(1명/팀)과 장려상(3명/팀)에게는 각각 200만원과 100만원이 수여된다. 윤영호 한국로타리 백주년기념회 회장은 “이번 공모전을 통해 한국로타리의 역사와 미래를 조명하고 로타리 정신을 담은 감동적 메시지를 발굴하고자 한다”며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많은 분들의 참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모전 관련 자세한 사항은 한국로타리 백주년기념회 공식 홈페이지 (http://www.rotarykorea100.com/?c=main)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7년 창립 100주년을 앞두고 있는 한국로타리는 1927년 경성에서 첫발을 내디딘 이후 19개 지구, 1700여 클럽, 7만여 명의 회원을 보유한 강력한 봉사 네트워크로 성장했다. 전 세계 140만 명이 활동하는 국제 로타리의 중요한 일원으로서 ‘초아의 봉사’ 정신을 실천해 온 한국로타리는 백주년을 맞아 회원 10만 명 달성과 함께 대규모 봉사사업 확대를 통해 국내외에서 ‘선진 봉사대국’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높여갈 계획이다. 백주년기념회는 이러한 비전 실현을 위해 로타리 가치 확산 캠페인을 적극 전개하며 미래 100년을 향한 새로운 여정을 시작하고 있다.
    • 뉴스보도
    • 문화
    2025-03-10
  • 사회적기업 스프링샤인, UNID와 함께 ‘도자기 텀블러 만들기’ ESG 체험 봉사활동 진행
    발달장애인의 예술을 재미있고 가치 있게 전달하는 사회적기업 스프링샤인이 기초무기화학제품 제조 및 판매 기업 UNID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도자기 텀블러 만들기’ ESG 체험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캠페인은 스프링샤인의 간단한 기업 소개와 함께 청각·발달장애인 마술사 해리(본명 박진오) 작가의 특별 마술 공연으로 시작됐다. 공연 전 참여자들은 간단한 수어 인사법을 배우는 시간을 가지며 장애인과의 소통 방식을 익혔다. 이를 통해 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장애인과 자연스럽게 소통하는 방법을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이후 도예가 메시(본명 전준혁) 작가의 지도 아래 도자기 텀블러 제작이 진행됐다. 작가는 도자기의 소성 과정을 설명하고, 참여자들이 직접 디자인하는 과정을 도우며 체험을 순조롭게 이끌었다. UNID는 ‘보다 나은 내일에 기여’라는 기업 미션 아래 다양한 기부 및 봉사활동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힘쓰고 있다. 이번 활동을 통해 단순한 봉사활동을 넘어 ESG 가치 실현은 물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새로운 소통 방식과 경험을 제공하며 예술을 통해 하나 되는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뜻깊은 기회가 됐다. 캠페인에 참여한 UNID 임직원들이 완성한 기부용 도자기 텀블러는 ‘굿윌스토어 은평점’에 기부돼 장애인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예정이다.스프링샤인은 발달장애인의 예술을 재미 있고 가치 있게 전달해 발달장애인에 대한 편견 없는 사회를 만드는 사회적 기업이다. 발달장애인 예술가가 직업적 지위를 갖고, 창작 기회를 누리는 예술놀이터로 발달장애인의 이야기가 담긴 창작물을 세상에 알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더불어 살아가는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2025-03-09
  • 샘표, 재단법인 기빙플러스와 ‘티아시아 커리 나눔 캠페인’으로 따뜻한 한 끼 전해
    우리맛연구중심 샘표가 세계 사회 정의의 날을 맞아 재단법인 기빙플러스(구 밀알나눔재단)와 ‘따뜻한 한 끼 나눔 캠페인’을 진행했다. 샘표는 식사를 거르기 쉬운 독거노인이나 저소득층 아동 등 취약계층이 영양가 있는 한 끼를 쉽고 맛있게 먹을 수 있도록 ‘티아시아 비프 키마 커리’를 전달했다. 샘표는 1946년 창립 이래 △구성원의 행복 △지역 사회 기여 △문화의 다양성을 핵심 가치로 추구하고 있으며, 한국 식문화 발전을 선도하고 행복한 지역사회 만들기를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2018년부터 국내 최초 기업 사회공헌(CSR) 전문 스토어 기빙플러스에 꾸준히 제품을 기부하며 나눔을 실천해 왔다. 또한 건강과 환경에 이로운 요리를 누구나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즐겁게 요리해’ 캠페인을 전개하며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해서도 힘쓰고 있다. 이 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해에는 기빙플러스로부터 ‘2024 친환경 기브그린 캠페인 환경경영상’을 받았다. 14일 서울 도봉구 도봉노인종합복지관에서 열린 전달식에는 김정수 샘표식품 최고고객책임자(CCO)와 도봉노인종합복지관 이은주 관장, 기빙플러스 백준현 팀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날 샘표는 색다르면서도 우리 입맛에 꼭 맞는 깊은 풍미가 매력적인 티아시아 커리 중 ‘티아시아 비프 키마 커리’ 4만5000여 개를 기빙플러스 측에 기탁했다. ‘티아시아 비프 키마 커리’는 카라멜라이징한 양파의 깊은 감칠맛과 숙성한 카레의 진한 풍미가 어우러져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사랑받고 있다. 이날 후원한 제품은 도봉노인종합복지관과 한국지역아동센터연합회를 통해 취약계층이 풍족하게 먹을 수 있도록 인당 10봉 이상 전달될 예정이다. 샘표는 지역사회에 소외되는 사람 없이 모두가 따뜻하고 맛있는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따뜻한 한 끼 나눔 캠페인’을 진행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우리 식탁을 책임지는 대표 기업으로 사회적 책임 실현을 다 하고 지역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전파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2025-03-04
  • 엘앤에프, 가족친화적 따뜻한 기업문화 조성 나서
    글로벌 이차전지 소재기업 엘앤에프가 올해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임직원 자녀들을 축하하며 가족친화적 기업문화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28일 엘앤에프는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임직원 자녀 23명에게 입학 축하 선물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선물은 △CEO 축하 편지와 양극재 키링 △외식 상품권 △우산, 텀블러, 네임 스티커 등 학교생활에 필요한 문구 세트로 구성됐다. 이번 행사는 임직원 자녀의 생애 첫 입학을 함께 축하하고, 회사와 임직원 및 가정이 함께 화합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기획됐다. 이번에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축하 선물을 받은 한 임직원은 아이의 첫 입학을 회사에서도 함께 축하해주니 더욱 특별한 순간이 됐다며, 자녀가 선물에 무척 기뻐했고 부모로서도 회사의 따뜻한 배려에 감사함을 느꼈다고 소감을 전했다. 가족친화인증기업으로 선정된 엘앤에프는 ‘아이를 키우면서도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조직문화 구축을 위해 다양한 가족친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매년 삼성라이온즈 스윗박스 관람권, 지역 내 테마파크 제휴, 임직원 자녀 보안/코딩교육 등 다양한 가족친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임직원들은 일·가정 양립을 위한 유연근무제, 육아휴직, 단축근무 등의 제도를 활용해 지역/업계 내 선도적인 가족친화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엘앤에프 김진명 HR부문장은 “이번 프로그램은 임직원 자녀들의 새로운 출발을 응원하는 동시에 임직원 자녀들의 성장 과정에 회사가 함께한다는 마음을 전하고자 기획했다”며 “이번 임직원 자녀 초등학교 입학 선물 전달을 시작으로 다양한 가족친화 복지 프로그램을 확대해 임직원들이 일과 가정에서 균형을 이루며 회사와 함께 성장하는 문화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2025-02-28
  • 사)농어촌정보화전남협회 연리지사회적협동조합과 MOU를 체결
    사)농어촌정보화전남협회(회장 이종호)와 연리지사회적협동조합(김나영 센터장)는 나주시 소외계층을 위한 따뜻한 겨울나기 사랑의 먹거리 나눔 행사를 위해 MOU를 체결 하였다. 연리지사회적협동조합(김나영센터장)은 나주시 빛가람동에서 노인장기 요양사업을 하는 비영리기업으로서 노인 방문요양 방문목욕사업과 장애인 활동지원사업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어 지역민으로부터 많은 사랑과 신뢰를 받고 있는 나주시에 건실하게 운영되는 몇 안되는 사회적협동조합 중에 하나다. 사)농어촌정보화전남협회는(www.jnse.kr) 나주시 사회적기업1호로써 나주시 사회적기업 발전을 위해 많은 수혈을 하고 있고 옥외광고업, 전시부스업, 행사대행, 행사용품렌탈, 컴퓨터재활용사업을 하는 기업으로 취약계층 컴퓨터무료보급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다. 이번 사랑의 먹거리 나눔행사에는 연리지사회적협동조합에서 관리하는 소외계층들에게 따뜻한 영양돌솥밥을 제공하였다. 나주시사회적기업들이 십시일반으로 조금씩 보태어 이번 나주시소외계층 사랑의 먹거리나눔행사를 치루다 보니 넉넉하지는 못한것으로 보인다. 사)농어촌정보화전남협회(회장 이종호)은 이번 MOU체결을 통해 매년 주기적인 사랑의 먹거리나눔행사와 그외 소외계층을 위한 기부행사를 금전적이든 물질적이든 주기적으로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매년 2회씩 광주전남캄보디아공동체와 2000명의 캄보디아인들을 위한 행사들을 하고 있다 연리지사회적협동조합(김나영센터장)은 이번 행사를 만들어 주고 향후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나주시 노인 및 장애인분들께 따뜻한 사랑의 먹거리사업이 확장 되었으면 좋겠다고 하면서 오늘은 눈이 와서 많은 분들이 오지 못했다. 다음번에는 더 많은 분들에게 사랑의 먹거리를 제공하면 좋겠다고 밝혔다.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2025-02-08
  • 나주시사회적기업 사랑의 먹거리나눔 행사개최
    전남사회적기업협회 나주시지부 최승현 (나주애인 대표)회장과 연리지사회적협동조합(김나영)센터장과 MOU를 체결 및 나주시 소외계층을 위한 따뜻한 겨울나기 사랑의 먹거리 나눔 행사를 개최하였다. 연리지사회적협동조합(김나영센터장)은 나주시 빛가람동에서 노인장기 요양사업을 하는 비영리기업으로서 노인 방문요양 방문목욕사업과 장애인 활동지원사업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어 지역민으로부터 많은 사랑과 신뢰를 받고 있는 나주시에 건실하게 운영되는 몇 안되는 사회적협동조합 중에 하나다. 전남사회적기업협회 나주시지부는 사회적협동조합으로서 나주시 사회적기업을 대표하는 비영리기관으로 사회적기업들의 가치창출 사업 및 사회적기업에게 필요한 간접적인 사업들을 매년 수행하면서 나주시사회적경제를 선도적으로 이끌어 가고 있다. 이번 사랑의 먹거리 나눔행사에는 연리지사회적협동조합에서 관리하는 소외계층들에게 따뜻한 영양돌솥밥을 제공하였다. 전남사회적기업협회 나주시지부 최승현 대표는 이번 MOU체결을 통해 매년 주기적인 사랑의 먹거리나눔행사를 개최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연리지사회적협동조합(김나영센터장)은 이번 행사를 만들어 주고 향후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나주시 노인 및 장애인분들께 따뜻한 사랑의 먹거리사업이 확장 되었으면 좋겠다고 하면서 오늘은 눈이 와서 많은 분들이 오지 못했다. 다음번에는 더 많은 분들에게 사랑의 먹거리를 제공하면 좋겠다고 밝혔다.
    • 사회적가치
    • 사회서비스
    2025-02-06
비밀번호 :